건강정보

노화의 주범 ★ 활성산소 vol.3 "항산화제"

곡물박사 2016. 1. 21. 16:14

활성산소vol.2(클릭)에서는 

활성산소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활성산소가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활성산소에

맞서 싸우기 위해 

우리는 왜 항산화제를 섭취해야 하는지

를 알아보겠습니다.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활성산소는

자연스럽게 생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마치 자동차가 휘발유를 넣으면

자연스럽게 배기가스가 나오는 것처럼 

활성산소는 그렇게 생성이 됩니다.


운동을 하거나 자외선, 흡연, 음주, 

중금속, 스트레스에 많이 노출이 되는

사람일 수록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산화제는 도대체 우리 몸에서 

어떤 원리로 작용하는 걸까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과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사과를 잘라서 그대로 둔다고 상상해보세요.

얼마 지나지 않아 사과의 겉이

갈색으로 변하게 되지요?


철도 마찬가지로 공기중에 

그대로 노출시켜 두면 녹슬게 됩니다.

산소와 반응을 해서 산화(부식)가 되는거죠.


하지만 사과의 한쪽 표면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비타민C를 발라서

두었더니 바른쪽 표면은 갈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비타민C는 산소와 만나 

먼저 반응을 하게 됩니다.

산소와 만나 반응을 하여

산화력이 큰 산소를 중화시켜

사과세포와 반응을 하는 것을

막았기 때문인데요.


항산화제는 이러한 원리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항산화제

우리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활성산소와만나

비활성산소로 중화시키는 역할을 해요.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항산화제는

활성산소와 먼저 만나 반응을 하여

활성산소가 우리 세포와의 반응을

막게 해주는 것이죠.



정말 고마운 물질입니다.

우리 몸을 대신하여 활성산소와

반응을 대신하여 주니까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이번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노화과정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활성산소vol.4(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