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피트산 효능)에이어 오늘은

피트산 제거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료출처: http://www.precisionnutrition.com/


1. 열

식품에 조리를 하기 위해 열을 가하게 되면

피트산의 일부분이 제거가 됩니다. 


2. 도정

곡물을 도정하면 겉껍질이 벗겨져 나가

피트산도 같이 완벽히 제거가 됩니다.

하지만 여러 긍정적인 물질들도 

같이 제거가 되는 단점이 있죠.



3. 불리기

콩과 곡물을 불리게 되면 피트산을 줄일 수 있어요.

피트산 뿐만아니라 무기질 흡수를 방해하는

다른 물질들도 줄일 수 있답니다.


4. 발효시키기

효모를 넣고 발효를 시키게 되면

효모가 피트산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피트산을 제거 할 수 있답니다.

따라서 밥을 불릴때 따뜻한 물로 불리세요.


5. 발아시키기

발아를 시키게 되면 효소의 작용으로

피트산 농도를 줄일 수 있어요.


그 외


6. 동물성단백질

동물성 단백질을 적절히 섭취해 주어야

영양결핍에 걸리지 않고

고농도의 피트산을 섭취한다 해도

동물성 단백질 안의 영양소들을

모두 상쇄할 수 없습니다.


7. 식초

피트산은 이노시톨과 인이 결합한 형태인데요.

우리 위에 들어가면 위산으로 인해

그 결합이 모두 끊어져 피트산의 농도가 현격하게

(33~66%)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밥을 불릴때 식초를 한두스푼 넣게 되면

식초의 산이 피트산의 결합을 끊어

피트산의 농도를 획기적으로 낮추게 되는 원리죠.



전에 포스팅에서 말씀드렸었는데,

현미 독성은 건강한 사람이라면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문제입니다. 피트산은 우리 위액에 의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인과 이노시톨 형태가 되며


남은 피트산이라 할 지라도 우리 몸의 

영양소 흡수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한 연구에서도 1000mg~2000mg의 고 농도의 피트산을

섭취하여 반응을 살피는 연구를 했는데

뚜렷한 영양결핍이 없었다는 논문이 있습니다.


오히려 피트산의 여러 긍정적인 측면들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심혈관질환 개선, 당뇨개선

등의 긍정적 효과에 주목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하지만 영유아나 노인분들은 피트산을 제거하는 것을

추천드리는데 소화기능이 덜 발달했거나 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트산을 제거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따뜻한 물에 식초 2~3스푼 넣고 현미를 하루나 이틀 담가두는 것입니다.


몸에 좋은 현미 걱정없이 드시기 바라겠으며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글에 현혹되지 마시기 바랍니다.



피트산효능보러가기(클릭)


현미사러가기(클릭)




Posted by 곡물박사
,